Monday, February 23, 2015

['달관 세대'가 사는 법] 덜 벌어도 덜 일하니까 행복하다는 그들… 불황이 낳은 '達觀(달관) 세대' 

  • 김강한 기자 
  • 임경업 기자 
  • 장형태 기자
  • 입력 : 2015.02.23 03:00 | 수정 : 2015.02.23 08:43

    [1] 정규직 미련 버렸다

    -불확실한 미래보다는…
    삶 희생해 얻는 건 스트레스, 지금 이순간 행복한 게 최고

    -전문가들 "사회이슈 될 것"
    현실 安住 젊은이 많아지면 경제성장에 부담될 수도

    연세대를 졸업한 조모(26)씨는 지난해 대형 가구 회사에 입사해 연봉 3200만원을 받았지만 입사 5개월 만에 퇴사했다. 조씨는 "회사가 희생을 강요했다. 매일 오전 8시에 출근해 밤 9시에 퇴근하는 생활을 반복하다 보니 '이렇게 일해서 뭘 얻는 건가' 하는 회의가 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나는 가구를 파는 좀비였다"고 했다.

    회사를 나온 조씨는 학원 계약직 영어 강사로 취업했다. 연봉은 700만원쯤 줄었지만 업무 시간은 4분의 1로 감소했다. 그는 최근 강사직도 그만뒀다. 조씨는 "그간 모은 900만원으로 올해는 일하지 않고 지낼 생각"이라고 했다. 그는 "불안한 마음이 없진 않지만 생활비로 월 60만원만 쓰기 때문에 1년은 별걱정 없다. 지금은 스트레스도 없고 행복하다"고 했다. 조씨는 "소박하지만 문화생활도 가능하고 마음의 여유가 생긴 것만으로도 내 선택에 만족한다"고 말했다.
    
  지난달 23일 박샘씨가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마두동 자택에서 편안한 복장으로 디자인 관련 일을 하고 있다. 박씨는 자신의 집에서 프리랜서로 일하는 게 수익은 많지 않더라도 여유를 즐길 수 있어 행복하다고 했다. /김지호 기자
     지난달 23일 박샘씨가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마두동 자택에서 편안한 복장으로 디자인 관련 일을 하고 있다. 박씨는 자신의 집에서 프리랜서로 일하는 게 수익은 많지 않더라도 여유를 즐길 수 있어 행복하다고 했다. /김지호 기자
    저성장, 장기 불황 시대에 좌절해 스스로를 '88만원 세대' '(연애·결혼·출산을 포기한) 삼포 세대'라고 자조하던 20·30대 가운데 "그래 봐야 무슨 소용이냐"는 젊은이들이 생기기 시작했다. 차라리 '안분지족(安分知足)'하는 법을 터득하자는 이들이다. 그들은 "양극화, 취업 전쟁, 주택난 등 노력으로 바꿀 수 없는 절망적 미래에 대한 헛된 욕망을 버리고 '지금 이 순간' 행복하게 사는 게 낫다"고 말한다. 1990년 이후 20여년 장기 불황을 겪고 있는 일본에서는 이런 젊은이들이 이미 '사토리 세대(さとり世代)'로 불리며 사회현상이 됐다. 사토리는 우리말로 '득도·달관·초월'쯤에 해당되는 말이다. 한국 경제가 일본의 전철을 밟으면서 우리에게도 분노와 좌절의 심리를 현실 안주로 치환하는 젊은 세대가 등장한 것이다.

    이들의 가장 큰 특징은 정규직으로 입사해 뼈 빠지게 일해도 현실은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고 생각한다는 점이다. 서울대 4학년인 오모(26)씨는 지난해 봄 한 외국계 컨설팅 회사에서 인턴으로 근무하며 대기업 입사의 꿈을 접었다. 그는 "아침 6시에 일어나 오후 7시에 퇴근해 씻고 자는 생활이 반복됐다"며 "그렇게 일한다고 떼돈을 버는 것도 아닌데 정규직이 되면 그보다 더 심할 것 아니냐"고 했다. 그는 지난해 말 서울 강남 대치동 학원에서 파트타임으로 논술 첨삭을 하며 52만원을 벌었다. 오씨는 "정규직 취업은 힘든 시대지만 아르바이트 자리는 많다. 업무 강도가 낮은 계약직으로 일하면 월 100만~200만원은 벌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지난 연말 대기업에 취업한 친구들이 아등바등 제 발로 지옥으로 걸어 들어간 것 같아 불쌍하다"고 했다.

    정규직에 목매지 않는 한국판 사토리 세대의 직업 선택 기준은 '여유 있는 삶 보장'이다. 대학을 2년째 휴학 중인 임모(23)씨는 백화점 콜센터 계약직으로 월 120만원을 벌고 있다. 오전 10시 반 출근, 오후 7시 반 퇴근, 토·일요일은 휴무인 일자리다. 월급의 50만원은 저축하고 10만~15만원은 데이트할 때 쓴다. 그는 "주위에서는 정규직 알아보라고 성화지만 그렇게 삶을 희생해서 얻는 건 스트레스밖에 없지 않으냐"고 했다. 경희대를 졸업한 박샘(25)씨는 경기도 일산에서 디자인 관련 재택 아르바이트를 하며 월 80만원을 번다. 박씨는 "일하고 싶을 때 일하면서 꼭 필요한 만큼만 벌어 취미생활 하며 산다. 정규직이라고 미래가 보장되는 시대는 끝난 것 아니냐"고 말했다.

    성균관대 구정우 사회학과 교수는 "고용 없는 성장, 저성장 시대가 이어지면서 이런 젊은이들이 늘어나 곧 사회적 이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구 교수는 "개인의 선택이지만 현실에 안주하는 사람들이 많아진다면 경제성장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했다. 


    ☞사토리 세대(달관 세대)
    1980년대 중후반~90년대에 태어난 10대 후반~20대 중반 일본 젊은이 중 미래는 절망적이지만 '지금'은 행복하다고 말하는 세대를 일컫는 말. 사토리는 '득도, 깨달음'이란 뜻으로, '안분지족'하는 법을 깨달은 세대라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다. '욕망 없는 세대'인 이들은 비록 경기 침체로 정규직을 구하기 어려운 상황이지만 중저가 옷을 입고 햄버거를 먹으면서도 행복을 느낀다.

    100자평

    2015.02.23 06:08:27신고 | 삭제
    배가 불렀군. 이솝이야기의 개미와 배짱이 이야기에서 개미가 부워울 날이 꼭 옵니다. 돈이 없어 새벽 조조에다 할인에다 싸구려 커피먹으면서 혼자 영화보는 날이 금방와요...
    2015.02.23 20:06:47신고 | 삭제
    맛있는건 기성세대가 다 찾아먹은 결과지.
    2015.02.23 19:57:51신고 | 삭제
    요즘 젊은이들 참 안됬어요. 학교 다닐 때는 스펙 쌓느라 숨가쁘게 살았고, 졸업하고는 취업난에 절망하고...경제상황과 사회여건이 그들을 이렇게 만든것인데, 이들과는 판이하게 다른 20~30대를 살아온 자들이 포기, 나약, 베짱이 운운하는 것은 합당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2015.02.23 19:51:26신고 | 삭제
    대한민국을 바꿔라. 1) 국회의원은 무보수 명예직으로 바꿔라. 2) 대학교육은 무료교육으로 바꿔라. 단 정원은 5만 이하로 줄여라. 3) 대학에 못가는 사람은 남녀모두 징집하여 2년간 군인으로 복무하게 하되 최하 6개월은 적성대로 직업교육을 강도높게 실시하여 전역과 동시에 90% 이상 취업 할 수 있도록 바꿔라. 4) 공무원의 봉급은 동일 연령의 직장인의 봉급 평균으로 바꿔라
    2015.02.23 16:40:00신고 | 삭제
    요즘 젊은이의 선망 1. no stress : 스트레스는 만병의 근원. 2. no home : 가정 그거 귀찮아. 결혼 안하고 말지 3. no child : 무자식 상팔자. 자식 있으면 뭘해? 4. no money : 돈 많아도 귀찮아. 그저 밥 굶지 않을 정도만 있으면 돼. 5. no hope : 희망 그것 버린지 오래. 더 잘된다는 보장도 없는데 뭘 더 바래?
    2015.02.23 16:38:46신고 | 삭제
    요즘 20대의 문제점은 너무 부모의존적인 삶을 살아왔다는 것입니다. 날때부터 부모들이 먹고살만하니 그저 공부만 잘하면 된다고 가르쳤어요. 하지만 모든 사람이 다 공부를 잘할 수 있나요? 지금도 일터는 꾸준히 있습니다. 들어가기 힘든 거지요. 자신의 능력이 안되면 그에 맞추어 미래를 계획해야 합니다. 능력이 모자라면 현명한 선택이라도 할줄 알아야지요. 그게 바로 지혜입니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

    Note: Only a member of this blog may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