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iday, February 20, 2015

2015. 01. 13. 화요일
해외불패 Homing






편집부 주

이 글은 독자 투고 게시판인,
해외불패에서 납치되었습니다.





일간지의 대학/교육/과학 섹션이나 경제지를 보면 연례행사 마냥 매년 나오는 거의 동일한 내용의 기사가 있다. 가장 최근에 본건 전자신문 1월 4일 자에 신년기획이랍시고 나온 건데 대충 이런 거다.

전자신문 캡쳐.JPG 

유학생 체류 귀국 현황.jpg
출처 - 전자신문

한마디로 이야기해서 미국에 박사 하러 유학 간 두뇌(나는 이 말이 너무 우습고 이상하게 느껴진다. 유학왔다고 다 똑똑한 것도 아니고 유학 안 왔다고 안 똑똑한 것도 아니고 공부가 똑똑해서 하는 것이라고 생각되지도 않는다. 대부분 좋아서 하지.), 여튼 유학생들이 졸업 후에 한국으로 안 돌아온다는 거다. 하도 많이 봐서 이젠 뉴스로도 안 느껴지고 비슷한 기사들에 달린 댓글들을 봐도 당연하다는 분위기다. 너도나도 기회 되면 한국 뜨고 싶은데 공부하러 나간 김에 직장까지 구하게 되었으면, 굳이 뭐하러 귀국하냐는 것이다. 그런데 일반인들은 당연지사라고 느끼고 있는 와중에도 정부기관 쪽에서는 신경이 조금은 쓰이나 보다. 지난 2년 연속 한국 기초과학 연구원이라는 곳에서, 내 이메일을 어떻게 알았는지 이런 설문조사를 해달라는 요청을 보내왔다.

IBS 설문조사.JPG

설문내용 자체를 캡쳐하지는 않았지만 대충 졸업하고 한국 올 거냐, 안 올 거면 이유가 뭐냐, 한국 직장이나 대학의 보수가 문제냐, 아니면 일하는 환경이나 분위기가 문제냐 이런 질문들이 50개 넘게 있었던 것 같다. 2013년 연말에 이 설문 요청이 왔을 때는 판단력에 일시적인 오류가 생겼었는지 나의 답이 혹시라도, 만에 하나 ,한국 이공계 대학이나 관련 기업의 근무 환경의 개선에 이바지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으로 열심히 설문에 응했었다. (결코 참여하면 무조건 준다는 10불짜리 스타벅스 카드를 받기 위함이... 맞다. 이해해라. 마눌님이 스타벅스 사랑하신다. 그런데 놀랍게도 설문에 응하고 1년이 넘었는데도 스타벅스 카드는 받지를 못하고 있다. 젠장!)

낚였다.jpg

역시! 대한민국 공공기관에서 일하는 이들의 업무 능력을 새삼스럽게 실감했다. 더 놀라운 것은 그렇게 주기로 한 것은 입 닦아 놓고는 2014년 같은 시기에 100% 동일한 설문 요청이 또 온 것이었다. 그것도 스타벅스 카드 준다는 동일한 미끼의 낚시와 함께! 이놈들아 같은 낚시에 두 번 낚일까 보냐? 그래서 냉소적으로 너네들 일하는 수준이 이따위니 한국에 안 가고 싶지 이놈들아 이렇게 답변을 날려주고 열폭한 상태에서 이 글을 쓰기로 결심... 한 건 아니고, 나름대로 미국에서 이공계 박사과정을 마친 데다가 미국과 한국에서 수년간 열심히 직장을 알아보며 겪은 일들 및 주변 선후배들을 통해 들어온 사례들을 바탕으로 내가 몸담은 이공계 대학교수라는 직종의 채용시스템과 관련하여 정보 공유 차원의 이런 글을 꼭 한번 써보고 싶었다. 그리고 한국과 미국 양국에서 다 교수 채용절차라는 것을 경험해보고 내린 결론은 (아래에 더 자세히 소개하겠지만) 다분히 비합리적이고 비효율적이며 이상한 한국의 교수 임용 시스템이 결국은 한국 대학 발전을 저해한다고 믿기 되었기 때문에 이 글을 딴지에 쓰게 된 것이기도 하다.

간단히 소개하자면, 나는 한국의 한 지방대의 이공계 학과, 좀더 자세히 말하면 생명과학 관련 학과에서 학부와 석사를 마치고 미국으로 유학 와 몇년 전 박사과정을 마치고 너무나도 당연한 절차인 포닥(Postdoc: 한국 정식 명칭은 박사 후 연수 과정일 게다)을 4년간 거친 후 2014년 초에 겨우 겨우 미국에서 이름 들으면 다 아는(물론 나의 착각일 가능성이 크다.) 유명한 사립대학에서 정년 트랙(tenure-track) 조교수 임용을 받았다.

2011년께부터 2014년 초 임용 계약서에 서명하기 직전까지 거의 3년간 수많은 원서들을 내봤고 까여봤다. 한국 신문에서 본 입사원서 수백 번 내봤다는 취준생들의 노고에 비할 것이 못되나(사실 우리 직종은 많이 뽑지도 않고 공고도 잘 안 나온다. 1년에 많으면 미국 전역에서 10개 내외고 2014년에는 1년 내내 내 전공분야로 딱 두 개 났더라), 2년 넘도록 같은 학과나 관련 분야면 단 하나도 빠트리지 않고 다 지원했다. 사실 나는 처음부터 졸업 후 한국에 돌아갈 생각이 없었다. 졸업 후 대학교수가 되는 것이 꿈이었고 미국에서 공부하다 보니 이쪽 분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싶기도 했고 또 하고 싶은 연구도 비교적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근무환경을 접하기도 하여 미국에 남기를 희망하게 된 경우이다. 이 근무환경의 차이라는 것만 가지고 글을 써도 몇 페이지는 족히 나올 테니 여기선 생략한다. 

그렇게 나는 일단 미국 내 대학들에 지원을 하기 시작했다. 나름 박사과정 동안 연구업적이 꽤 우수했던 터라(지금 생각해보면 완전 우물 안 개구리의 생각이었다. 세상은 넓고 훌륭한 인재는 너무 많다. 실로 부끄럽다.) 그래도 서류전형까진 통과하지 않을까 기대했건만 수많은 대학들(흔히 말하는 명문대부터 듣보 주립대까지 아우르는 모든 레벨)로부터 매몰차게 까였다. 사실 이메일로 불합격 통지만 보내줘도 감사했다. 대부분의 학교들은 아예 답장도 오지 않았다. 나중에 어느 한적한 주(State)의 아주 작은 규모의 대학에서 일하시는 교수님께 들었는데 조교수 한 명 뽑는다는 공고 내면 지원서가 수천 장이 넘게 온다고 하더라. 그리고 그 지원자 대부분이 다 충분히 자격을 갖춘 인재들이라는 것이다. 그러니 정말 특출나지 않으면 그 수천 장을 말 그대로 스르륵 보고 넘기는 와중에 눈에 띄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 된다. 사무직원들도 불합격한 수천 명에게 일일이 다 연락해주기 힘들었을 거고 말이다. 

sorting_paper.gif
(아마도 이런 식이 아니었을까?)

그렇게 2년 넘게 까임의 고배를 들이키다 보니 마음이 조급해지기 시작했다. 박사과정 하는 중에 제 먹을 건 타고 난다는 어르신들 말씀을 믿고 호기롭게 낳은 큰 아이는 자꾸 자라가면서 어마어마한 돈을 먹어대기 시작했고(미국 의료시스템 이야기 많이 들어보셨을 게다. 돈 엄청 깨진다. 그렇다고 애들을 보험 안 해줄 수도 없고) 아내는 둘째의 출산을 앞두고 있었다. 마음은 급해지고 대학교수라는 꿈은 붙잡고 싶고, 그래서 울며 겨자먹기로 한국의 대학들에도 눈길을 돌리기 시작했다. 한국의 대학에서도 자리를 못 구하면 꿈을 접고 회사를 알아보기로 마음먹은 상태에서 말이다. (물론 산업체 자리도 들어가기 어렵긴 매한가지이지만.) 그래서 찾은 곳이 귀국을 희망하는 유학생들의 필수코스 하이브레인넷(hibrain.net)이다.

Hibrain capture.JPG
(그런데 여기서도 또 두뇌타령이다.)

저렇게 복잡다단한 웹페이지의 항목들을 학교니 지역이니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다 살펴보다가 다행스럽게도 전공분야의 교수 초빙공고들을 몇 개 발견했다. 그 공고들을 통해 각 학교들의 온라인 지원 시스템에 로긴하면서부터, 그때까지 한국인이면서도 한국대학의 임용시스템에 대해 전혀 모르고 있던 나는 극심한 문화충격(culture shock)을 경험하게 되었다. 유학 처음 와서 International student orientation(유학생들을 위한 신입생 설명회/환영회)에 갔을 때 처음 들은 말이 바로 culture shock였다.

Culture shock.jpg

평생 자기 나라에서만 살다가 다른 나라에 와서 처음 겪는 문화적인 차이 때문에 받는 충격 받고 오해하고 하는 것. 그런 사례들을 통해 미리 알아놓으면 서로 이해하고 오해가 없을 수 있다며 알아두라고 가르쳐주던 그것. 바로 그런 문화충격을 태어나고 30년 가까이 살던 모국에 임용지원을 하면서 느끼다니. 스스로 꽤나 많이 놀래서 한동안 여기 저기 같이 공부하고 연구하던 친구들에게 "너네들 그거 아냐? 한국 대학의 교수 자리에 지원하려면 이러이러 해야 해" 하고 떠들며 다녔었다. 

그런데 나는 미국 체류만을 생각해왔기 때문에 잘 몰랐던 것이지만 한국에 사시는 분들 혹은 한국 대학 교수 채용시스템에 익숙하신 분들에게 그냥 당연하다고 느껴지던 것들이었다. 하지만 미국에서 고작 10여 년 산 나 같은 사람도 충격 받게 한 한국의 교수 채용 시스템이 아닌가. 그 때 내가 미국과 어떻게 다르게 느꼈는지 써두는 것은 여러모로 의미있는 일일 거 같다.

이제부터가 본론이다! 서론이 너무 길어서 미안하다. 한글로 이렇게 긴 글을 써본 건 10년이 넘어서 그렇다. 이해 부탁드린다.

먼저 한국과 미국의 사례들을 들며 비교하고 풀어나가고자 하는 내용들을 아래 같이 간단(?)하게 5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보았다.

Overview of Faculty search and hiring process (교수 임용 절차), 

Application materials (지원서 및 제출 서류), 

Interview and school visits (면접 및 연구발표회), 

Salary, benefit, and start-up fund (연봉, 복지, 초기 연구지원금), 

Selection criteria(심사기준)

이 글 안에서 어디까지 쓸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일단 시작해보겠다.



1. Overview of Faculty search and hiring process(교수 임용 절차)

사실 전체적인 초빙 공고에서부터 채용하기까지 과정만 따지면 한국이나 미국이나 특별한 차이가 없다. 

초빙공고 먼저 초빙공고가 나간다. 한국의 경우 위에 나온 하이브레인넷이나 다른 채용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고 미국의 경우 최소 두 군데 이상의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공고가 나간다. 하이브레인넷을 보면 알겠지만 모든 채용공고가 각 학교 홈페이지 안에 있는 채용서비스 링크로 연결되어있다. 그곳을 방문할 때 진짜 알짜배기 정보들이 나오게 되어있다. 미국도 비슷하다. 내 전공분야는 Science Career나 NatureJob을 통해 공고가 많이 나가고 마찬가지로 많은 경우 학교 홈페이지 내의 채용서비스 사이트로 링크된다. 그런데 여기서 약간 다른 것이 미국의 경우, 지원서 및 제출서류를 딸랑 이메일 하나 써놓고 그리 보내면 된다고 해놓은 곳도 꽤 많이 볼 수 있다. 아래 두 번째 항목에서 지원서와 제출 서류 목록을 다룰 때 어떻게 이게 가능한지 알 수 있다. 

서류 심사 및 면접대상자 선별 : 한국이나 미국이나 동일하게 faculty search committee가 구성되어 이 일을 감당한다. 주로 채용을 하고자 하는 학과의 교수님들께서 맡으신다. 나중에 Selection criteria (심사기준)를 다룰 때 보다 자세한 내용을 이야기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면접 및 연구발표회 : 사실 연구발표회라는 것은 한국에서 주로 쓰이는 표현이고 미국에서는 그냥 campus visit이라고 불린다. 간단하게 이야기해서 불러놓고 만나보고 발표나 강의도 시켜보고 하는 것. Interview and school visits (면접 및 연구발표회)에 대해선 후에 보다 깊게 이야기하도록 하겠다. 얼핏 보면 한국-미국이 비슷하지만 아주 분명하고 큰 차이점들이 많다.

선택과 추천 : 이제 학과 교수들이 모인 faculty search committee에서 몇 명 또는 한 명을 선택해서 대학본부 측으로 추천해서 올려보낸다. 한국에서는 이 추천(혹은 추대)부분을 주로 형식적으로나마 학과장이 담당하게 되어있고 미국의 경우 faculty search committee의 chairperson이 담당한다. 이 부분에서도 같은 일을 하는데 방식과 기준에 있어 한국-미국의 차이가 많다. 나중에 자세히.

총장 면접 및 최종 승인 : 어떤 사람을 골랐는지 그냥 총장이 얼굴 한 번 보자는 정도의 목적밖에 없다. 뭐 때론 1대 1의 감동적인(?) 훈시도 받을 수 있다. 난 유럽출신 단과대학장님(Dean)으로부터 훈시를 들으면서 그 현란한 언변에 감동했던 경험이 있다. 물론 한국의 모 사립대에선 이사장이 최종합격자를 만나보니 뚱뚱하다고 채용을 취소한 유명한 일화도 있긴 하다. 그 다음부터는 committee 선에서 뚱뚱한 사람이 지원하면 알아서 자른다고 한다. 연구업적과 무관하게.

연봉협상 및 계약 체결 : 뒤에 더 자세히 다루겠지만 한국의 경우 대부분 선택이나 협상의 여지가 별로 없다. 그냥 정해진 기준이 경력에 따라 나눠어있고 단지 그것을 따르면 된다. 물론 학교에서 꼭 데려와야겠다고 목메는 인재가 있다면야 대대적인 협상이 가능하겠지만 그런 경우는 아주아주 드물, 아니 거의 찾아보기가 힘들다.


2. Application materials (지원서 및 제출 서류)

내가 한국의 대학들에 지원서를 준비하면서 처음으로 당황한 것이 바로 이 부분이다. 먼저 간단한 미국의 경우부터 보자. 아래는 흔한 조교수 채용공고에서 발췌한 부분이다.

Interested candidates should send the following PDF attachments via email to ****@***.edu (include *********** in the subject line): 
 (1) cover letter, 
 (2) complete CV (including funding record), 
 (3) independent research statement, 
 (4) teaching statement, 
 (5) three representative publications, and 
 (6) list of five references (names and complete contact information).

그렇다. 총 6개의 서류만 제출하면 된다는 거다. 1번 Cover letter는 letter 용지 딱 1장이고 3~4번 연구 및 강의 계획도 한두 장 정도이고 5번 대표 논문 저서는 사실 요청하는 곳이 10%가 채 안된다. 논문 저서를 생략할 경우 PDF를 만들면 모든 내용이 다 텍스트이니까 500KB 정도면 충분하고도 남는다. 그리고 이런 식이니까 이메일로도 수령이 가능하고 지원자의 입장에선 한 번 만들어놓으면 약간의 수정을 통한 재활용에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럼 한국의 경우는 어떨까? 각 학교별로 아주 미세한 차이가 있긴 하지만(한 0.1% 정도?) 어떤 대학 홈페이지에서 긁어 가져온(그렇지만 실질적으로 모든 대학이 똑같은) 제출서류 목록은 이러하다.

Ø  1차 심사 제출서류: 교원임용지원서 1부, 연구실적 목록 및 요약 1부, 자기소개서 1부

Ø  2차 심사 제출서류(1차 심사 합격자에 한함): 반명함판 사진 1매, 연구실적물 각 1부 - 발표한 국제전문학술지(SCI, SCIE, SSCI, A&HCI, SCOPUS 등),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후보지) 이상 국내전문학술지 게재논문(저서 및 박사학위논문 포함), 학력 및 성적증명서(대학 및 대학원), 학위증 사본 각 1부, 경력 및 재직증명서(지원서상의 전 경력) 각 1부, 기타 서류심사시 제출한 서류의 확인을 위해 필요한 서류 각 1부

어? 1차 서류는 딱 세 개뿐이라 별것 아니라 할 수 있겠지만 그 각 양식 안에서 요구하는 정보의 양을 보면 그렇지가 않다.

교원 채용 지원서.JPG


미국서 고작 10년 산 나에게 "아~ 한국은 이랬었지"라며 향수를 일으켰던 첫 주자가 바로 제일 왼쪽 위에 넣게 되어있는 [사진]이다. 많은 독자들께서 이력서에 사진 넣는 것 너무 당연하게 여기고 계실 줄로 믿는다. 그런데 미국서 요구하는 CV (Curriculum Vitae)에는 사진이 없다. 사진 넣어 지원하라고 하면 외모에 자신 없는 나 같은 사람들이 소송을 걸 수도 있다. 농담이 아니다.

기본 지원서 안의 항목을 통해 드러나는 또 다른 한-미 간의 차이점이 주민번호와 생년월일이다. 한국 내에서도 주민번호가 개인정보로 보호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이런 시점에서, 사실 면접대상자 고르는데 이러한 극히 개인적인 정보가 왜 필요한지 이해가 쉽지 않다. 미국의 주민번호 Social Security Number (SSN)는 아무에게도 안 보여주고 나만 알아야 하는 비밀 정보다. 내 고용주도 모르고 HR에서 일하는 사람만 조회가 가능하고 면허증이나 집을 사거나 관공서 갈 때만 필요한 거지 이놈 저놈 다 보여줘야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생년월일은 왜 물어보나? 독자들 중 너야말로 당연한 걸 왜 딴지냐 하실 분도 있겠지만 이곳에 살다 보니 이것도 알려줄 필요 없는 개인정보로 다루는 데에 익숙해져 버리더라. 특히 미국에선 인사채용 때 나이를 고려사항에 넣어 떨어뜨린 사실이 드러나면 그것도 소송감이다. Faculty search committee를 해보신 교수님이 교육받고 온 내용을 들어보니 나이, 인종, 결혼 유무, 아이 유무, 하물며 VISA status까지도 물어볼 수가 없게 되어있다 한다. 저런 모든 사항들이 이 사람이 진짜 이 일에 합당한지 안 한지 판단하는데 고려되어서는 안 되는 것들이란다. 물론 주민번호와 생년월일은 비단 입사지원서가 아니라도 현재 한국사회에서 전반적으로 널리 통용되고 있는 것이니까 그러려니 한다고 치자.

그런데 한국의 교수임용 지원서에는 더 나아가 [가족사항]까지 쓰게 되어있더라. 부모님, 형제, 자매, 내 아내와 아이들의 생년월일과 그들의 직업까지도. 이해를 못하겠다. 누가 좀 알려주시라. 내 가족의 직업과 생일이 내가 교수의 자질을 가진지 보는데 왜 필요한 고려사항인지. 내가 면접대상자로 뽑히지 않아도 심사위원들은 내 아내 생년월일을 알 수 있게 된다. 괜히 기분 나쁘지 않은가? 하긴 학교에서 바쁜 나를 대신에 아내 생일에 맞춰 꽃배달 서비스를 해주려는 배려인데 내가 오해하는 것일 수도 있겠다.

그런데 더 진 빠지게 하는 것이 그 다음 양식 [연구실적 목록 및 요약]이다.

Capture dddd.JPG

위의 두 그림을 보자. 왼쪽 그림 한국의 경우엔 보다시피 각 논문 저서 하나당 한 페이지씩 요약한 양식의 제출을 필요로 한다. 논문 저서(publication)가 20개면 20페이지가 추가되고 각 논문 저서당 발행인(publisher) 명칭같이 어디 하나 쓰고 해도 아무 용도도 안 떠오르는 그런 쓸데없는 정보부터 시작해서 팟캐스트 '그것은 알기 싫다'의 UMC 말마따나 "뭘 그런 걸 궁금해하고 그래!?"라는 말이 나오게 하는 각 공동저자들의 이름들과 그들의 소속까지 기재하라 한다. 반면 오른쪽 그림에서 보이듯 미국에선 CV 안에 그냥 논문 저서 목록만 쓴다. 논문이나 책을 쓸 때 인용 저서(reference)를 표기하는 형식 그대로 목록만 쓰는 게 흔히 통용되는 정석이고 사실 그렇게만 해도 필요한 내용은 다 알 수 있다. 문외한 분야면 몰라도 같은 전공과에서 후임교수 뽑는데 그 논문 목록을 보고 필요한 정보를 얻지 못한다면 그 심사위원이 문제가 있는 것이다. 후에 한국의 모대학과 흔치 않은 전화인터뷰를 한 적이 있는데 그때에서야 공동저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이유를 어렴풋이나마 추측해볼 수 있게 되었다. 그 전화인터뷰에서 받은 두 번째 질문이 "한국에 있는 다른 대학들에 교수님들 아시는 분들이 누구누구 계세요?"였다. 아! 면접에서 이런 질문을 받을 줄이야. 그래, 누구랑 줄이 닿아있는지 알아보는 것이 그 목적일 수도 있으리라 싶었다.

또 하나 한국의 연구실적요약서에서만 볼 수 있는 재밌는 점이 있는데, 논문 저서마다 나름대로의 기준을 적용하여 점수(?)를 매기게 되어있다는 것이다. 주장하기로는 객관적 평가 기준이라는데 그 기준이 또한 상당히 어이없고 엉망이라서 부정으로 임용을 가능하게 하면서 그럴듯하게 포장하기 쉽도록 만들어져있다. (이건 후에 심사기준 부분에서 보다 깊게 다뤄보도록 하겠다.)

미국과 비교해 보다 객관성을 내세우고 있는 듯한 차이점은 2차 서류 목록에 있는 각종 증명서들이다. 성적 및 학위 증명서, 경력 증명서 등등. 간단히 말해 네가 지원서에 기재한 모든 내용이 사실이라는 것을 증명해내라는 뜻이다. 미국에선 물론 필요가 없다. 이 점은 한국 내 각종 학력 및 실적 위조 사례들을 볼 때 필요하다는 주장에 반박하기 쉽지 않겠지만, 불신이 깊게 자리 잡은 우리 한국 사회 분위기를 대변하는 것 같아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

그 외 경력사항, 수상경력, 특이사항, 자격사항 등등은 위의 임용지원서 양식 안에 포함되어 있고 미국의 경우 CV 안에 그 모든 내용과 연구실적 목록 등 필요한 모든 정보가 간략하게 들어간다.

위에 서술한 교수직에 지원 시 필요한 제출서류 관련, 한-미 비교내용을 요약해보자면 아래와 같다.

제출서류비교.jpg

기껏 길어봐야 20장 남짓한 미국 대학의 교수지원서류에 비해 한국의 대학에 교수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실로 엄청난 분량의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실례로 나의 K대 지원 서류는 아주 특이한 경우로 총 500장 가량이었고(1차 심사부터 모든 논문 저서를 다 보내라더라), A대는 200장 정도였다. 더 재밌는 사실은 이 수백 장의 지원원서와 첨부서류를 온라인이 아니라 우편으로 배달시켜야 한다는 점이다. 헛웃음 밖에 안 나온 A대의 경우, 온라인 양식에 이 모든 내용들을 하나하나 기재하면 그것들을 웹상에서 돌아가는 프로그램이 하나의 파일로 만들어서 인쇄할 수 있게 해주는데 이걸 내가 인쇄해서 우편으로 붙여야 접수를 받는다나. 뭐냐, 정말!?

뭐냐정말.JPG

미국에서라면 저 서류뭉치 보내는 비용만 20~30불은 족히 든다. 왜 온라인 시스템을 제대로 만들어서 모든 원서 접수도 온라인으로 하고 심사위원들도 직접 온라인에 로긴해서 다운받아 그 내용들을 살펴볼 수 있게 해놓지를 않았는지 이해하기가 힘들다. 그리고 어차피 100% 동일한 내용을 요구할 것인데도 학교별로 지원서 양식의 각 항목 위치를 조금씩 틀리게 해놔서 다른 곳에 냈던 것을 재활용 불가능 하게 만든 것도 마찬가지다. 뿐만 아니라 그 어마어마한 내용을 온라인에서 직접 입력하게 해 놓았기 때문에 여러 군데 지원하는 나는 손가락에 쥐가 날 정도로 막노동을 해야만 했다. 

이렇듯 무지막지한 양의 서류들과 그 안에 차고 넘쳐나는 중복되거나 실질적으로 불필요한 정보들의 요청과 비효율적인 온라인 시스템으로 인해 한 대학에 지원서류 넣는 데에만 몇 시간은 족히 소요되는 상황이다. 여러가지 면에서 이 얼마나 불필요한 낭비인지 모르겠다.

그러면 왜 미국은 저리도 간단한 서류만 제출하라고 하는 것일까? 그 까이 꺼 대충~ 뽑기 때문인가? 

물론 아니다. 저 몇 안 되는 서류들 안에서 지원자 하나하나가 알아서 자기 강점을 강조하고 포장을 할 수 있는 자유도를 제공하기 위함이고 따라서 그 statement 안, CV 안에서 어떻게 나에 대한 것을 부각시킬 것인가 개인이 나름대로 디자인하고 만들도록 하기 위함이며 그런 경쟁 조건 안에서 얼만큼 역량을 발휘하는가가 중요한 평가기준으로 여겨지기 때문일 것이다. 잘 준비된 지원서는 한 장의 cover letter 안에서 잘 짜여지고 쓰여진 글이 심사위원의 눈을 사로잡을 수 있어야 하고 CV를 통해 그 내용들을 뒷받침해줌으로써 나의 능력에 대한 확신을 심어줄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여기 미국의 대학에 들어온 지원원서들을 보면 얼마나 다양한지 모른다. 

그에 비해 한국 대학들의 교수임용지원서는 한마디로 표현해서 '획일화'되어있다. 정해진 양식이 있고 넣어야 하는 내용이 있어서 어떻게 배치하고 어떻게 글을 쓰고 나름대로 끼(?)를 부려볼 여유공간이 전혀 없다. 이러한 차이는 두 나라가 가지고 있는 문화적인 차이에 크게 기인하고 있다고 나는 본다. 그렇기에 10년간 미국 문화에 익숙해져있는 나에게 한국의 문화가 충격으로 다가온 것일 테고 말이다. 

하지만!!! 아직 진짜 문화충격은 시작도 안했다. 진짜 알짜배기들은 면접과 심사기준 과정에 목격했기 때문이다.

S대서 서류심사 합격!! 이라는 기쁜 소식을 들었지만 함께 따라온 큰 충격을 이기지 못하고 난 그만 모든 한국의 대학에 낸 교수임용 지원을 전격 취소해야만 했다. A대에서는 200장의 서류를 받아놓고 접수 반나절 만에 떨어졌다고 통보를 해왔기에, 이쉐키들이 보지도 않을 것을 달라고 했다는 사실을 깨닫기도 했다. 모든 심사과정을 독보적인 실력으로 다 통과하고도 마지막 순간 예전 지도교수의 전화 한 통에 떨어진 선배의 이야기, 상상력을 초월하는 초기연구 지원금으로 신입 교수가 아닌 앵벌이가 되어버린 선배 이야기, 모든 탁월한 연구실적을 뒤엎어버리기에 충분한 출신 학부의 힘 등등... 나누고 싶은 이야기가 많지만 오늘은 일단 여기에서 마무리 하도록 하겠다. 눈이 너무 아파 더는 못 쓰겠다. 에효.

다음에 기회가 된다면 이야기를 계속 이어가 볼 것을 기대하며 서툰 쏨씨로 쓴 글을 읽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를 드린다.

To be continued.png







해외불패 Homing

편집 : 딴지일보 퍼그맨

 

번호제목글쓴이날짜추천반대
공지[파토의 쿡 찍어 푸욱]26.게임의 법칙 : 내각제가 온 순간, 기회는 없다 [41]파토2015.02.1390
공지[인터뷰]살아남은 기자가 말하는 IS의 본심, "본질은 사담 후세인이다" [10]딴지 편집부2015.02.1340
공지[스포츠]늬들 주먹 좀 써봤냐? : 존나 센 남자의 이야기 [33]아직은투아웃2015.02.13100
공지[출사표]제대로 음원서비스 함 해볼란다 [71]너클볼러2015.02.12170
공지[사회]이 시대의 계백을 위하여3 : 가족을 빼니 갈 곳이 없다 [52]펜더2015.02.11160
공지[논평]문재인의 운명 : 누군가는 해야 했던 일 [59]벨테브레2015.02.1013-2
공지[딴지만평]이 완구, 괜찮겠습니까 [9]공구2015.02.10130
공지[공지]벙커깊수키 통합 5호(나쁜짓 특집) + 제2회 딴지스 백일장(2/15마감) [10]죽지않는돌고래2015.02.0620
공지[파토의 호모 사이언티피쿠스 32]마술, 과학 그리고 진실 [10]파토2015.02.0620
공지[인터뷰]IS에 4번 납치된 기자 츠네오카 코스케, "김 군이 개종하면, 연락 가능하다. 다만..." [21]딴지 편집부2015.02.0340
공지[리뷰]대통령의 시간, 세계 최초 본지가 800P 정독하다 [39]무천2015.02.0360
공지[문화]메트로폴리탄 건축가 : 렘 쿨하스 1 [13]ParisBoucher2015.02.0590
공지[논평]선의와 개소리 사이에서 : 성폭행 할 수 밖에 없는 환경? [14]춘심애비2015.01.2960
8509[문화]언니가 덕후다 이거뜨라 : 베이비돌 입덕 지침서 [10] file챙타쿠2015.02.1620
8508[사회]이공계 대학 교수되기 4 : 서울대 졸업과 빼어난 외모 [41] updatefileHoming2015.02.1650
8507[사회]평생 비정규직 사회 : 난 어디로 가야하나 [2] file비정규노동2015.02.164-1
8506[좌린스케치]다시, 진도 : 내 아이가 있는 곳 [5] file좌린2015.02.1690
8505[월간 테크 연대기]2월 우주 탐험의 역사 [1] updatefiletrexx2015.02.1630
8504[사회]이 시대의 계백을 위하여 4 : 결혼과 성욕의 충돌 1 [58] file펜더2015.02.167-1
8503[소설]부자 아빠 아들vs존나 부자 아빠 아들 [8] file임종금2015.02.164-1
8502[경제]컨설팅 일지 7. 사례로 디벼본 지적재산권2 : 상표를 먼저 등록해두면 로또다?[2] file워크홀릭2015.02.1630
8501[국제]에너지 전환시대의 논리 9 : 인간의 오랜 친구, 바이오에너지 [6] file에너지전환2015.02.1660
8500[사회] 국립대 총장 길들이기에 관한 고찰 [1] filecocoa2015.02.1630
8499[픽션]'판사 조련'에서 '조현아의 콩 값'까지 : 법조계 이야기 [7] updatefile벨테브레2015.02.16100
8498[정치]내가 문재인을 까지 않는 이유 [83] file춘심애비2015.02.127-4
8497[산하의 가전사]꺼벙이 아저씨 [5] file

No comments:

Post a Comment

Note: Only a member of this blog may post a comment.